본문 바로가기

National Doragraphycs/이슈번역

[MR] 인터넷과 자본주의의 부정한 결합 by 존 포스터와 R. 맥키스니 6부 - 저널리즘의 문제

글 중 언급한 wired 잡지. 이 그림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한 것이지, 본문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알립니다. This is the picture to help readers for the article here to understand easier. IT IS NOT RELATED WITH THE ARCTICLE FOLLOWING.



The Matter of Journalism 

저널리즘의 문제
 

It appears that corporate entertainment media may have found a path to a digital future—albeit at a very high cost, an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alternatives—but the same cannot be said for journalism, or, for that matter, freedom of speech. Here conventional economics provides useful assistance in developing a critique, but one is also informed by elementary liberal democratic theory and U.S. history. The U.S. system of governance as originally conceived—and as subsequently interpreted by the Supreme Court—is predicated on having a credible news media system to inform citizens of pressing matters and monitor those in, and those who wish to be in, power. The Internet arguably came with greater promise for journalism, freedom of speech, and democratic renewal than for any other area. Here, therefore, the failure is most profound.

엔터테인먼트 미디어가 장차 디지털 세계에 활로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것에는 틀림없이 비쌀테지만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저널리즘 혹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문제를 옹호할 수 없다. 현재 전통적인 경제학은 비판적인 시각을 보장한다고 하지만 이것 역시 자유 민주주의적 이론의 원칙과 미국의 역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갖고 있었으며 미국 헌법이 차후에 해석을 한 것처럼 미국의 통치 시스템은 활자나 모니터로 시민들에게 집권하길 바라는 정치인들의 소식을 전해주는 신뢰할만한 미디어 시스템을 가져야 한다는 것에 입각한 것이다. 인터넷은 그 어느 분야보다 저널리즘과 표현의 자유, 민주주의의 회복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인터넷의 실패는 그 어느것보다도 심각한 것이다.


In the initial euphoria, the Internet tended to lead people to think that it could smash the barriers-to-entry to the old media monopoly and arrive at a verdant new competitive era of media. As Grateful Dead lyricist and “cyberlibertarian” John Perry Barlow famously put it, back in 1995, the big media conglomerates, in making their mergers and acquisitions, were merely “rearranging deck chairs on the Titanic.” They would all soon be submerged by the Internet, with its unlimited number of Web sites.36 All sorts of newcomers could enter what had been a restricted field, and if they could locate a following, they would be able to generate sufficient revenues to make a go of it. 

낙관적이었던 초기에 사람들은 인터넷이 재래의 독점 미디어의 장벽을 깨고 생기있고도 열띈 미디어의 경쟁시대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995년 Grateful Dead의 작사가이자 “사이버자유주의자”였던 존 페리 밸로우는 거대 독과점 언론 미디어들의 인수합병이 그저 “침몰하는 타이타닉에서 접이식 의자를 바로 세우려는 것과 같은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짓거리”라는 명언을 남겼다. 거대 미디어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전부 인터넷의 무한한 웹 사이트 안으로 용해될 것 같았다. 새롭게 나온 모든 종류의 미디어들은 지금까지 제한했던 분야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고 독자를 만들 수 있다면 일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수익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It did not happen quite this way, either for entertainment media or for journalism. Putting together an attractive Web site people would want to visit and support in large numbers requires resources. If the big guys, with all their advantages, were struggling to make a go of it, it was a nightmare for everyone else. In fact, no content-creating newcomers have been able to enter the field in any significant manner and make money, despite the ostensible opportunity to leapfrog existing barriers-to-entry. The huge media conglomerates are only now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digital realm into a lucrative source of profit making for entertainment products—and the profits still pale in comparison to those generated by their “old media” operations.

그러나 위와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것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나 저널리즘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수 많은 사람들이 찾아가고 지지하려는 인기 있는 웹사이트를 만드는 것은 자원을 필요로 한다. 만약 덩치 큰 기업이 자신들이 가진 모든 이점을 이용하여 이것을 만드려고 했다면 대중들에게는 악몽이 되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진입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표면적인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의미 있는 방식으로 언론 분야에 들어가서 수익을 내는 신참 언론기업은 거의 없다. 현재 거대 재벌 미디어는 엔터테인먼트를 생산하여 수익을 올리는 원천으로 디지털 세계를 바꾸려는 과정에만 있을 뿐이다. 그리고 여기서 나온 이득은 그들의 “종래의 미디어”를 운영하는 것에서 나왔던 수익보다는 못미치고 있다.


Journalism is a rather different matter. It is an area, unlike entertainment media, where copyright plays a minimal role in the business operation. Unlike books or music or films, the content tends to be produced for immediate consumption. Moreover, journalism has a somewhat different economic problem than commercial entertainment, one that precedes and is independent of the Internet: providing sufficient quality and quantity of reportage has always been a problem for the market.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final purchasers of news media throughout history ever comprised a large enough revenue base to support a satisfactory popular news media, something that democratic governance requires.

저널리즘은 다소 다른 문제이다.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와는 다르게 저널리즘은 운영상 저작권이 최소한도로 미치는 분야이다. 서적이나 음악, 영화와는 달리는 저널의 콘텐츠는 즉각적인 소비를 위해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저널리즘은 상업적 엔터테인먼트와는 조금은 다른 경제적 문제를 갖고 있는데, 그것은 앞서 나온 저작권에 대한 문제이며 인터넷이 가진 독립성에 대한 것이다. 충분한 질과 양의 보도를 제공하는 것은 언제나 시장에서 문제가 되었다. 역사상 뉴스미디어를 최종적으로 구매하는 사람들이 양질의 저명한 뉴스 미디어를 지탱할 만큼, 그리고 이 민주주의적 체제가 요구하는 수준의 수만큼 조성된 적이 있었다는 증거는 거의 희박하다.


In the first century of the United States, the press system received support both from political parties and from enormous federal printing and postal subsidies. Were the U.S. federal government to subsidize journalism in 2011 at the same percentage of GDP it did in the 1840s, it would spend in the $30-35 billion range.37 (Contrast that to the approximate $400 million allocated to public broadcasting by the federal government in 2011.) 

초기 미국에서 언론 시스템은 정치 단체와 거대한 연방 인쇄우편부 양쪽에서 지원금을 받았다. 미국의 연방 정부가 2011년에 언론사에 지원한 보조금은 1840년대와 GDP대비 퍼센티지가 동일했다면, 이 보조금은 300~350억 달러 정도가 되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2011년에 연방정부가 공영방송에 할당한 금색은 4억 달러에 가까울 것이다.)


By the twentieth century, a commercial newspaper system was fully in place—and federal subsidies fell sharply, though they never disappeared—but now the majority of revenues came from commercial advertisers, who had little interest in journalism per se, and great interest in selling their products to newspaper readers. 

21세기가 되자 상업적 뉴스 시스템은 완전히 정착되었고 연방 정부의 보조금은 급격히 떨어졌다. 물론 이 보조금이 사라진 것은 결고 아니지만 현재 언론사들의 수입 대부분은 상업적 광고회사에게서 나온다. 그리고 이 광고회사들은 저널리즘 자체에는 거의 이해관계가 없고 독자들에게 자신들이 만든 물건을 파는데 관심을 둔 회사들이다.


Capitalist control over the news media has always been problematic: commercial values have tended to be incongruous with journalism as a public service; and owners have enjoyed using the political power of the press to their advantage. That prerogative was generally weighted toward advancing the interests of the owning classes. In fact, “professional journalism” emerged as a form of industry self-regul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o some extent to allay concerns about monopolistic or commercial control over public information. It did so by informally delegating control of the newsroom to professionally trained editors and reporters. The professional system was probably at its peak in the 1960s or 1970s, and even then it was far from perfect.38 

자본가들이 뉴스 미디어를 통제하는 상황은 언제나 많은 문제가 있었다. 왜냐면 상업적인 가치는 공공 서비스로서의 저널리즘과는 어울리지 않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언론사 사주는 자기들의 이득을 위해 언론이 가진 정치적 힘을 휘두르는데 재미를 보고 있었다. 이러한 특권은 점차 언론 회사를 가진 자들의 이해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편중되고 있었다. 사실상 “전문적 저널리즘”은 20세기의 처음 반세기 동안 기업들의 자기규제 형태로서 공공의 정보를 독점적, 상업적으로 지배할 지도 모른다는 염려를 어느 정도 누그러뜨리기 위해 출현하였다. 언론은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편집자들과 기자들에게 보도국이 가진 비공적인 통제력을 위임함으로서 그러한 역할을 해냈다.  이러한 전문적인 시스템은 대략 1960년대, 혹은 11970년대에 최정점에 치달았다가 이제는 점차 전성기에게 멀어지고 있다.


The current crisis of journalism began in the 1970s, owing in part to increasing corporate consolidation of ownership, which exploded in the 1980s. In monopolistic markets, media owners had incentive to lowball the resources to newsrooms, assuming they would keep their customers and advertisers. These firms were out to maximize profit, and journalism was merely a means to that end. 

지금의 저널리즘의 위기는 1970대에 시작한다. 1980년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난 기업들의 경영권 합병과도 관련되어 있다. 독점시장에서 미디어의 소유주는 보도실의 자원을 평가절차할 이유가 있었는데 왜냐면 그들은 미디어를 소비자들과 고주를 끌어들이는 역할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디어 회사들은 이윤의 극대화를 도모하였고 저널리즘은 단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었다.


The system of professional journalism began to wither. Corporate owners increasingly found journalism too expensive for their tastes. The number of working journalists per capita began to decline by the late 1980s, though corporate news media profits were booming, and in the first decade of the new century, the number of journalists fell off a cliff. In 1960 the ratio of public relations people—attempting surreptitiously to doctor the news—to working journalists was around 1-to-1. In 2011 the ratio approaches 4-to-1. Large sections of public life are barely covered anymore, and those that are rely to a much larger extent on the unfiltered missives of PR firms. Add to this the rabid right-wing partisan ramblings of commercial media, and we are, in many respects, in the midst of a golden age of propaganda. 

전문적 저널리즘 체제가 고사하기 시작했다. 언론사 사주들은 저널리즘이 자신들의 수지를 맞추기에는 너무 비싸다는 것을 금세 알았다. 기업화된 뉴스 미디어의 이익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나 국민 1인당 활동하는 기자의 숫자는 1980년 후반에 하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1세기가 들어서고 10년 동안 기자들의 숫자는 곤두박질쳤다. 1960년 활동하는 기자 대비 관련자들의 비율-즉 보이지 않는 곳에서 뉴스를 만들려고 하는-은 1대1 정도였다. 2011년에 이 비율은 4대1에 도달한다. 이제 대중의 삶에서 대부분의 영역들은 이제 노출되었고 우리의 삶은 광고 회사들의 여과 없는 광고 메일에 상당 부분에 의지하고 있다. 게다가 상업적 미디어에 대해 횡설수설하는 극우세력들까지 합세하여, 여러모로 우리는 프로파간다의 전성시대를 살고 있다.


The Internet did not cause the crisis of journalism, but it certainly accentuated it. It took away tens of billions of dollars of advertising—in one decade, Craigslist alone all but wiped out $20 billion in newspaper classified advertising. Advertisers had no particular commitment to newspapers any more than journalism, and the digital world created new and better alternatives. The Internet also provided one more reason for young people to avoid reading increasingly flaccid newspapers or watching TV news. The one thing news media had done that was unique—provide original coverage of events in their communities and on their beats—had been cut back. What they replaced it with—sports, entertainment news, trivia—could be found anywhere and had no connection to “hard” news.

인터넷이 저널리즘의 위기를 초래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분명히 인터넷은 저널리즘의 위기를 더욱 가중시켰다. 인터넷이 생김으로써 광고에 쓰이는 몇 백억 달러를 아낄 수 있었다. 십 년 동안 Craigslist-역주: 미국 부동산 커뮤니티-만 그랬던 것이 아니라 인터넷은 신문에 할애되는 200억의 광고비를 없앴다. 광고주들은 저널리즘 이상으로 신문방송에 이렇다 할 책무가 없다. 그리고 디지털 세계는 새롭고 더 좋은 대안을 내놓았다. 인터넷은 젊은이들로 하여금 고루한 신문이나 TV뉴스를 보지 않아도 될 다양한 이유를 내놓았다. 미디어가 유일하게 하던 역할은 축소되었다. 그러한 미디어의 도보 대신에 올라온 스포츠란, 연예 뉴스, 잡다한 기사들은 어느 신문에서나 볼 수 있었으며 이런 기사들은 “심각한” 뉴스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Journalism has many traits of a public good. It is something society needs and something a self-governing society requires. But the market cannot produce journalism in sufficient quantity or quality. Public goods generally require public subsidy and explicit public policies to exist. This was implicitly understood during the first century of U.S. history, but the role of advertising in supporting journalism masked its public good characteristics thereafter. For the past century, media critics have concentrated on how the market has negatively affected the quality of journalism; now, as the dust clears, the issue of the quantity of the news, of the very existence of popular journalism under capitalist auspices, has moved to the fore.

저널리즘은 공공이익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것이며 사회 지정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자유주의 시장은 충분한 양과 질을 가진 저널리즘을 만들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이익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지원금과 명백한 공공정책을 필요로 한다. 미국의 초기 역사에서는 이런 요구들은 암묵적으로 용납되었다. 그러나 이후 저널리즘을 지원하는 광고회사의 역할은 저널리즘이 가진 공공이익이라는 성격을 감추는 것이었다. 지난 세기 동안 미디의 비평기사들은 시장이 양질의 저널리즘을 유지하는데 얼마나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가에 집중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좀 더 명료하게 말하자면, 자본의 후원을 받는 뉴스들과 현재 인기 있는 저널리즘의 양에 관련된 문제가 표면화되었다.


For the past decade, the great question has been: Will the Internet provide the market basis for resources sufficient to spawn a viable independent mass journalism? The answer is now in: It won’t. Not even close. The corporate news media sector will provide its version of greatly scaled-back news online, but by no account will this come close to filling the breach, and that does not even broach the issue of the quality of this corporate journalism. If there are going to be independent, competing newsrooms covering the world in the coming years, it will require a major change from the current course. It will have to recognize the particular economics of journalism and the irrelevance, even mendacity, of the “free market” approach. In short, this is precisely a public policy debate of the first order.

지난 십 년간 가장 큰 의문은 바로 이것이었다. ‘인터넷이 독립적으로 활동 가능한 대중 저널리즘을 만들 수 있는 충분한 시장 원천이 될 것인가?’ 현재 그에 대한 대답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심지어 그와 비슷한 효과도 없을 것이다. 기업화된 뉴스 미디어는 온라인에 상당히 축소한 뉴스들을 제공할 것이며, 그로 인해 생기는 언론의 공백을 이들이 채워줄 것이라고 보는 이는 아무도 없다. 심지어 이런 기사들은 기업화된 저널리즘의 질에 대한 쓴 소리는 꺼내지도 않는다. 만약 미래에 전체를 아우르는 독립적이고 경쟁력 있는 보도국이 생기려면 현재 추세에 중대한 변화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 독립적인 보도국은 저널리즘에 적용되는 특정한 경제논리와 “자유 시장”의 개입의 무관이 허위임을 밝혀내야 할 것이다. 요약하자면 이것은 분명히 가장 먼저 다루어야할 공공정책에 대한 논의이다.


The one saving grace of the Internet, its genius if you will, was that at the end of the day, no matter what, any person could start a Web site and acquire uncensored access to a global audience. This was democracy’s trump card against tyranny. Regrettably, we can now see that, as wonderful as it is to visit Web sites featuring material that would never see the light of day in mainstream media or the corporate Web sites, it is not sufficient. As Internet scholar Matthew Hindman has put it, we should not confuse the right to speak with the ability to be heard.

인터넷의 특성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인터넷이 가진 훌륭한 점은 무엇보다도 누구나 웹 사이트를 시작할 수 있고 전 세계적인 여론에 검열 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독재에 대항할 수 있는 민주주의가 가진 비장의 무기였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현재 우리는 이것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주류 언론이나 기업의 웹사이트에서는 위와 같은 민주주의적 희망을 결코 볼 수 없을 것이라는 현실을 말하는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다. 인터넷 학자인 매튜 힌드만이 말한 것처럼 우리는 말할 수 있는 권리와 듣는 능력을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The evidence is now in: though there are an infinite number of Web sites, human beings are only capable of meaningfully visiting a small number of them on a regular basis. The Google search mechanism strongly encourages implicit censorship, in that sites that do not end up on the first or second page of a search effectively do not exist. As Michael Wolff puts it in Wired: “[T]he top 10 Web sites accounted for 31 percent of US pageviews in 2001, 40 percent in 2006, and about 75 percent in 2010.” “Big sucks the traffic out of small,” Wolff quotes Russian Internet investor Yuri Milner. “In theory you can have a few very successful individuals controlling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You can become big fast.” And once you get big, you stay big.39

헤아릴 수 없는 웹사이트가 있음에도, 인간은 일정한 기반에 있는 적은 양의 웹사이트에만 의미있는 접근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구글의 검색 방식은 검색의 첫 번째나 두 번째 페이지에 뜨지 않는 사이트들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점에서 보이지 않는 검열을 상당히 촉진했다. 마이클 울프가 잡지 Wired의 지면에서 “2001년에 미국에의 인터넷 검색 인구 중 중 31퍼센트가 포털 상위 10개의 사이트에 집계되었고, 2006년에는 40퍼센트가 그리고 2010년에는 약 75퍼센트가 집계되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 그는, “거대 웹사이트가 작은 웹사이트로 가는 방문자들을 흡수한다”라고 말했다. 울프는 인터넷 투자자인 유리 밀네르의 말을 인용한다. “-역주: 거대 웹사이트가 된다면-이론상 당신은 수억 명의 사람들을 매우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통제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당신은 급속도로 거물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한번 당신이 거물이 되면 당신은 그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다.


Hindman’s research on journalism, news media, and political Web sites is striking in this regard. What has emerged is “power law” distribution where a small number of political or news media Web sites get the vast majority of traffic.40 They are dominated by the traditional giants with name recognition and resources. There is a “long tail” of gazillions of Web sites that exist but get little or no traffic, and few people have any idea that they exist. Most of them wither, as their producers have little incentive and resources to maintain them. (This is not to denigrate the “long tail,” as its existence is of considerable value and political importance; the point, instead, is to emphasize that the “long tail” is precluded from having the resources to enter the heart of the system and gain widespread exposure.) There is also no “middle class” of robust, moderately sized Web sites; that aspect of the news media system has been wiped out online. It leads Hindman to conclude that the online news media are more concentrated than the old media world. This is true, too, of the vaunted blogosphere, which has effectively ossified. Its traffic is highly concentrated in a handful of sites, operated by people with astonishingly elite pedigrees. Although the right to launch a Web site and speak to the world persists, its real-world significance is diminishing, as the proprietary realms of the wireless Internet render the open Web less relevant.

저널리즘, 뉴스미디어, 정치적인 내용을 담는 웹 사이트들에 대한 힌드만(Hindman)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비판하고 있다. 몇 안되는 정치적 뉴스미디어 웹사이트들이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한 사이트들은 인지도와 정보원천을 가진 근래의 거대 언론회사들의 지배를 받고 있다. 한두 사람이나 알만한, 트래픽이 거의 전무한 웹사이트들은 엄청난 ‘행렬’을 이룬다. 그러한 웹사이트들을 더욱 열악하게 만드는 것은 웹사이트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이 생존하기에는 너무 적은 이점과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이런 웹사이트들이 갖는 중대한 가치와 정치적인 중요성을 두고 무수한 ‘웹사이트들의 행렬’을 폄하하려는 게 아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웹사이트들의 행렬’이 거대 사이트가 트래픽을 독식하는 시스템의 핵심에 도달하고 폭로된 사실들로 접근하려는 원천을 차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법 탄탄하고 적당한 크기를 가진 “중산층” 웹사이트들도 없긴 마찬가지다.온라인 뉴스미디어 시스템에서 이러한 경향은 없어졌다. 이 때문에 힌드만은 온라인 뉴스 미디어가 과거의 미디어보다 더욱 한 곳으로 몰리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다소 인지도가 과장된 블로그스피어(블로그와 그 비슷한 일체의 것들)들로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이 굳어지고 있다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인터넷의 트래픽은 엄청난 엘리트층들이 운영하는 몇 안 되는 사이트들에 고도로 집중되었다. 웹사이트를 만들고 세상에 떠들 수 있는 권리는 관철되고 있지만, 그 권리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왜냐하면 무선 인터넷 고유의 영역은 다소 적절치 않은 웹 개방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In sum, the Internet, left prey to capitalism—to having the hunt for profits dictate its development—has veered off in a direction that downplays and undermines, rather than exploits and accentuates, the most revolutionary and democratic aspects of its technology. As long as the Internet is assumed to be primarily a profit-generating medium, and all policy and regulation is premised on that presupposition, it is difficult to imagine a different course than the one described herein. For some, like Wired’s Chris Anderson, this is the way of the market and therefore the way of the world. But, as we have shown, the capitalis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reates significant problems by the standards of market economics. Evidence abounds that another course is necessary. Fortunately, another way of envisioning the Internet is available, again from the field of economics itself.

요컨대 인터넷은 자본주의의 사냥감이 되었다. 자본주의는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인터넷의 발전에 영향을 주게 만들었다. 인터넷이 가진 가장 혁명적이고 민주적인 측면은 사람들이 경시하고 하찮게 생각했던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인터넷을 이익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생각하고 인터넷에 대한 모든 규제와 정책이 이러한 전제 하에서 상정되는 한, 전술한 것 외에 인터넷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기가 어렵다. Wired잡지의 크리스 앤더슨과 같은 몇몇 사람들에게는 인터넷은 시장의 흐름이며 이것은 곧 세계의 흐름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살펴보았듯 인터넷의 자본주의적 발전은 시장 경제의 원칙에 의해 중대한 문제를 잉태한다. 따라서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행스럽게도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빠져나와 인터넷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는 것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