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도가니 감독/황동혁, 주연/공유, 정유미] 도가니에 함몰되는 우리들, 누구도 그 밖에 있지 않았다.

공지영 소설가의 도가니가 영화로 만들어 세간에 엄청난 화제가 되고 있다. 청각 장애자에 대한 인권 유린을 다룬 이 영화가 큰 흥행을 맞은 것은 대통령을 비롯하여 사회 지도층조차 이 영화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는 코멘트를 달아서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에 인권이 어디까지 추락했는가를 생각해본다면 이 영화가 드러내는 진실은 결코 가벼울 수가 없었다.

 
이야기는 미술을 전공한 강인호가 청각장애자를 위한 특수학교 자애학원에 들어서면서 시작된다. 무진에 들어서자마자 강인호은 무진의 명물이라는 안개와 마주친다. 안개는 무진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무진시에 잔뜩 낀 하얀 장막, 사학재단과 공권력의 비리, 나아가 세간의 관심을 가리는 장막이기도 하다. 안개 속에서 로드킬을 하는 장면은 보이지 않은 곳에 가려진 참혹한 진실이 있음을 암시해준다.

교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인호는 점차 학교에 흐르는 기묘한 분위기를 눈치채게 된다. 무자비하게 학생을 때리는 박보현 선생을 아무도 말리지 않는 다른 교사들이나 한밤 중 여자 화장실에서 들리는 비명 소리, 공포에 질린 아이들의 눈빛... 사건의 진상을 아는 데는 그리 어렵지 않았다. 학교 안에서 그러한 일은 공공연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다만 아무도 그것을 제지하거나 나서서 해결하려는 사람이 없었을 뿐이다.



누가 불의를 저질렀는가

그렇다. 자애학원에서 일어난 모든 비극들이 안개 속에 가려진 까닭은 그러한 일들이 은밀한 곳에서 일어난 사건이라서기 보다는 그 목격자들이 함구한 까닭이다. 형사는 뇌물을 받았고 다른 교사나 수위는 학교에서 해고를 당할까 두려워 눈을 감았다. 주인공조차 발전기금이란 명목으로 교장에게 뇌물을 바쳤으며 사건을 진행하는 내내 매수의 유혹을 받았다. 끝내 아이들을 못본척할 수는 없었지만 주인공을 포함한 모든 학교 관계자들은 한통속이나 다름 없었다. 뇌물, 매수, 협박이 오갔다. 누구하나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렇다면 불의를 못본 척한 다른 선생들이나 수위, 뇌물을 바친 주인공들도 역시 정의롭지 못한가? 아이들을 위해 법정에 선 주인공을 차지하더라도 수위나 선생님들은 불의를 저질렀다고 말할 수 있을까? 법정공방에서 잠시 나오지만 반드시 그렇게 볼 수만은 없을 것 같다. 그들은 해고의 두려움을 안고 살았다. 여기서 잘린다면 생계가 막막한 그들이 가장으로서 책임을 뒤로하고 피해자를 위해 발벗고 나설 수 있었을까? 그들에 대한 변명은 다름아닌 인호의 어머니가 내뱉은 대사에서 나온다. "세상사람들은 다 니카모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줄 몰라서 그라는줄 아나 엉?"



준법보다 위에 있는 것

대중의 관심을 끌자 상황은 반전하는 듯 했다. 언론이 대거 주목을 하게 되고 사건을 회피하던 공권력이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게 된다. 재판을 하면서 상황은 점차 명확해졌다. 죄는 이미 입증된 것이나 다른 없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법은 결국 피해자들의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 성폭행이 친고죄임을 이용하여 기소자격이 있는 보호자를 매수하는 한편으로 판사, 검사, 변호사가 모두 한편이었던 것이다. 영화에서 법은 공명정대하게 사건을 처리하지 않았다. 비록 성문법은 정의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것을 집행하는 자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들에게 법은 사회 정의가 아니라 사익을 위한 무기에 지나지 않았다. 이쯤되면 법과 정의의 관계가 의심이 든다. 법이 공평타당하지 않고 만인이 그 앞에 평등하지 않다면 법은 누구를 위해 있는 것일까? 영화의 결말에서 우리는 준법의 가치를 땅바닥에 내팽개친 판사와 검사, 변호사를 보게 된다. 누구도 원치 않은 결말이었다.




도가니의 정체, 누구도 도가니 밖에 있지 않다.

영화 도가니가 충격으로 다가오는 것은 단순히 사회적 약자로 생각되는 청각장애아들의 사정이 딱해서가 아니다. 그들이 받아야할 것은 '동정심'이 아니라 '사람답게 살 수있는 권리'다. 그러나 공판으로도 그들의 권리는 지켜지지 않았다. 괴성을 지르며 항의하는 사람들이야 말로 이 영화를 바라보는 관객의 시선이었다. 폭력과 힘에 가리워져 있는 사건을 법정으로 끌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는 여지없이 무너졌다. 진실을 가지고는 그릇된 질서를 바로잡을 수 없는 무력감과 깊은 절망이 괴성이 되어 사방에서 튀어나왔다. 법정에서조차 외면 받은 그들이 우는 것인지 분노하는 것인지 모르게 온통 아비규환이 된 그 상태가 바로 도가니 자체였다. 

몇 일전 조현오 경찰 총장이나 가카께서 이 영화를 보고 '충격적'이라는 표현을 썼다. 아울러 대통령은 '의식 개혁을 위해 사회 전반의 자기 희생 필요'라는 말을 썼다. 이게 대체 무슨 의미로 한 지는 모르겠지만 필자가 보기에 이 두 분께서는 도가니의 줄거리를 알 수는 있어도 그 의미를 이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도가니의 정체는 부패한 사회에 대한 깊은 절망감과 무력감, 거기에서 나오는 분노이다. 아무리 진실을 규명하고 바꾸려고 노력해도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정의의 심판을 내릴 수 없다는 좌절의 외침이다. 영화 끝부분에서 불법 시위를 하고 물대포를 맞으며 청각장애아 민수의 장례식을 치르는 장면은 법과 정의가 더 이상 그들의 편이 아님을 알게된 사람들의 모습이었다. 

사회의 대부분 사람들은 도가니 밖에 있지 않다. 힘 있는 자가 법과 재력을 앞세워 약자를 유린할 때 우리는 모두 도가니 안에 있었다. 도가니 바깥에 있는 귀한 몸들이 그것을 알 리가 없다. 도가니는 대통령이나 경찰 총장에게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는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는 도가니 안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영화다. 슬플 때는 슬픔의 도가니 안에서, 분노할 때는 분노의 도가니 안에 우리는 있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이 도가니 안에 있지 않다면, 권력 앞에 무력한 정의에 눈을 돌린다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부조리와 불의는 다시 안개 속에 가려질 수 밖에 없다. 영화가 끝나갈 무렵 서유진은 이런 말을 한다. "우리가 싸우는 건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이 우리를 바꾸지 못 하게 위해서예요." 도가니 안에 있는 사람들이 울부짖는 까닭은 도가니 밖으로 나오기 위해서, 혹은 도가니 밖에 있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들은 좌절과 분노를, 불의에 대한 저항을, 양심의 소리를 듣기 위해 싸웠다. 그게 바로 우리가 온건히 도가니 안에 있어야 하는 이유다.


 


필자는 여주인공인 정유미보다 연두를 연기한 김현수 어린이가 더 기억에 남더군요. 아이엠 샘의 다코다패닝, 파괴된 사나이의 김소현에 이어 딸래미의 로망을 품게하는 아역이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