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cago Indy Media, August 21, 2010
시카고 인디 미디아 2010 8월 21일자
g20 Seoul: There Will Be A Storm
서울 G20에 폭풍을 예고한다.
By Barb Dwyer
On August 3rd, the Korea Times reported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will be mobilizing more than 400,000 police around the G-20 Summit in Seoul, November 11th & 12th, 2010. Multinational CEO's and leaders of the worlds twenty richest nations will meet during the G-20 on three islands, which have a price-tag of around 83 million(USD) to build...That's right, build.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total of three manmade “floating islands” are being built on the Han River between the Banpo and Dongjak bridges, and will be secured by anchors.
8월 3일 코리안 타임즈는 40만 명도 넘는 국내 경찰 병력을 2010년 11월 11일, 12일에 열리는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투입할 것을보도했다. 국제기업의 CEO와 20개국의 선진국의 수장들은 G20기간 동안 3개의 섬에 머물러 모임을 가질 것이다. 이 섬은 건설하는 비용만8300만 달러 가까이 들인 것이다. 서울시의 발표에 따르면 이 3개의 인공물, 소위 “떠다니는 섬” 모두는 한강에 지어진 것으로 반포대표와동작대표 사이에 지어졌으며 닻으로 고정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While thousands of demonstrators have taken to the streets during past G-20 Summit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South Korean workers and activists have a long history of being even more militant in their struggle against the destructive policies of globaliz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Northwest hemisphere. In December of 1996, the South Korean parliament passed a new labor law which began a "structural adjustment" austerity program on behalf of the IMF and World Bank. These programs require countries to make debt repayment a priority, and as a consequence forces them to cut essential social services such as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thus lowering their standard of living. These programs also open the door to the privatization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ancient forests and public water supplies, to be exploited by multinational corporations.
수천 명의 시위대가 지난 북 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열린 G20기간 동안 거리를 점거한 것과 마찬가지로 남한의 노동자와 활동가들은 그들의반대편에 있는 서방 국가보다도 참혹한 세계화의 정책에 맞서 더욱 격렬하게 투쟁하는 기나긴 역사를 지냈다. 1996년 12월에 남한 국회가새로운 노동법을 통과시키면서 월드 뱅크와 IMF의 지원 아래 “구조조정정책”이라는 씁쓸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국가로 하여금 채무 상황을 우선적 정책에 놓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로써 국가들로 하여금 건강, 교육, 개발과 같은 필수적 사회 공공사업을 삭감하게 한다. 그러므로 국가 내 대중들이 누리는 삶의 질을 하락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은 또한 중립적인 자원의 민영화를 초래한다.예를 들면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던 산림이나 수자원 같은 것들이 국제 기업들에게 착취당한다.
In the days that followed, 12 million South Korean workers went on strike to counter the new undemocratic labor law. In the years that followed, South Korean's continued to protest against the destructive policies of neoliberalism, most notably the WTO in 2003, World Economic Forum in 2004, APEC in 2005, and numerous other occasions. As the g20 approaches, the Korea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has announced it is planning to hold a rally and march on November 11th, the first day of the Summit. According to their website, “...the KCTU will do everything in our power to stage a massive anti-neoliberalism struggle that will gain attention of people and workers around the globe. To this end, we will prepare to hold People’s Action and be a leader of a great transformation.”
이후 1200만 명의 남한의 근로자들은 반민주적인 노동법에 맞서 파업을 시도했다. 그 해가 지나고 남한은 신자유주의라는 암담한 정책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었다. 특히 2003년의 WTO, 2004년 세계 경제 포럼, 2005년 APEC, 그리고 그 외 여러 국제행사들은 그러하였다. G20이 가까워질 때, 민주노총(the Korea Confederation of trade Uniuons, 이하 KCTU)는 G20이 열리는 첫날인 12월 11일에 대규모의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들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민조노총은 신자유주의 반대 투쟁이 전세계의 사람들과 노동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힘이 닿는 한 무엇이든 할 것이다. 결국에는 우리는 대중의 움직임을 조성하고 커다란 전환을 위한 리더가 되기 위해 준비할 것”이라고 말한다.
South Korean workers have often utilized the direct action tactics of resistance, such as strikes and factory takeovers, to large street demonstrations. It is not uncommon that the workers are also armed with slingshots, molotov cocktails, and sticks. Often times, in an act of more desperate resistance, workers commit suicide outside of their factories, sometimes through self-immolation. South Korean police on the other hand, much like their counterparts around the globe, have also demonstrated their willingness to continually brutalize their own citizens to quell public dissent of these policies. It is a well documented and common tactic for South Korean police to scrape the bottom of their metal shields on the concrete in order to sharpen the edges into a blade before they thrust their shields into the throats of protesters. Over the years, this brutal police tactic has led to the horrific deaths of many South Korean workers.
남한의 근로자들은 이러한 직접적인 저항 전략을 사용해왔다. 예를 들면 파업이나 공장 농성, 거리 시위 같은 것을 말이다. 그러한 노동자들이 고무총이나 화염병, 막대기로 무장하는 것을 흔한 일이었다. 때로 더욱 과격한 시위 때 노동자들은 그들의 공장 외부에서 분실자살과 같은 자살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남한의 정책은 서방과 매우 유사하게 그들의 정책을 반대하는 대중들을 진압하기 위해 곧잘시민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한국 전투경찰들은 방패 하단을 콘크리트에 문질러 날을 세우는데 이는 시위자들의 안면을 가격하기 위해서였다. 이는 그들의 문서화된 이유이자 일반적 전략이다. 몇 년이 지나자 이러한 야만적인 경찰의 전략은 수 많은 남한 노동자들의 끔찍한죽음을 초래했다.
All this comes at a time when the fallout from past G-20's are still fresh in the air. During the 2009 G-20 Summit in London, Ian Tomlinson was beaten to death by police. On July 21st, 2010, his wife and nine children learned that the London police would not investigate his death, despite video and photographic evidence. None of the officers went to the aid of Tomlinson, who stumbled 100 yards down the road before collapsing and dying in front of thousands of demonstrators. In Canada, the police have begun an old-fashion witch hunt for the people they suspect are responsible for the property damage that occurred during the G-20 in Toronto. Up to 17 people are being charged with conspiracy and at least 4 individuals still remain in jail. In the wake of the Pittsburgh Summit, many cases still remain in court regarding criminal charges against activists, as well as the excessive use of force by police.
지난 G20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기에 다음과 같은 일들이 닥쳐왔다. 2009년 G20 정상회담이 런던에서 열렸을 때 이안 톰린슨은 경찰에게맞아 죽었다. 2010년 7월 21일에는 그의 부인과 9명의 자녀들은 경찰들이 그의 죽음을 조사하지 않았다고 고발했다. 심지어 영상자료와 사진으로 남은 증거가 있었는데도 말이다. 어떤 정부 관련자들도 톰밀슨을 도와주지 않았다. 그가 수천 명의 시위자들의 앞에서 쓰러져 죽기까지 발길에 채인 거리가 100야드가 된다고 한다. 캐나다 토론토에서 G20 기간 동안에는 경찰들은 구식의 마녀 사냥 방식을 동원해 그들이혐의를 두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재산적 피해를 물게 한 일이 생겼다. 17명 이상의 사람들이 공동 모의 혐의로 유죄를 받았고 적어도 4명은 아직도 감옥에 있다. 피츠버그 회담의 소동에서는 운동가에게 부여된 유죄에 대한 것뿐 아니라 경찰에 의해 행사된 권한의 남용도 마찬가지로 여전히 많은 법원소송문제로 남아있다.
Whenever, and wherever, these large summits take place they are always preempted by a heavy campaign of psychological operations (PSYOPS) to prepare the population for the inevitable urban warfare and heavy handed police tactics that ensue. Authorities, for months ahead of time, tell local residents propaganda, such as “the rioters will threaten your lives” and “burn your city like Seattle in 1999” and that the “police are here to protect YOU, from THEM.” However, our collective experiences globally show us who the real violent faction is...In the past, we've seen all too often the police instigate violence, only to have the embedded corporate media twist the facts in their reporting later on. Given who they are protecting, and who pays their salary, it should be no surprise that the goal of both the police and corporate media is to delegitimize demonstrators and create pretexts to silence them. It is commonplace now that peaceful citizens are rounded up like sheep in “mass arrests” in order to create and/or expand their intelligence database of dissidents. The people who choose to resist and/or practice self-defenses are often labeled “terrorists” and face a multitude of oppressive weapons such as live-round and less-lethal ammunition, chemical weapons, and even newer oppressive directed energy technologies such as the LRAD sound cannon. Not only are the policies of neoliberalism destructive to human lives, the environment, and future of humanity in general, it could not be made possible without the collaborating authorities that protect these elite criminals through violence and deception.
이러한 거대한 회담이 열리기 전에 항상 그들은 엄청난 심리작전(PSYOPS)을 수행한다. 이는 피할 수 없는 시내폭동과 잇따를 대규모적인경찰 운용에 필요한 병력을 배치하기 위해서다. 이 때가 오기에 앞서 대변인들은 지역민들의 프로파간다를 조성한다. 말하자면 “폭도들이당신의 생명을 위협할 것”이나 “1999년 시애틀처럼 도시를 방화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찰이 배치된 이유는 시민들을 폭도들로부터 지켜내기 위해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우리들의 정확한 경험은 이는 누가 정말 폭력적인지를 알려준다. 과거에 우리가 본 것은 때로 경찰들이 폭력을 유발하는 행동이다. 이는 경찰과 관련 깊은 지방 언론이 차후 보도될 내용을 왜곡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들이 지키고 있는 대상이 누구인지 누가 그들의 임금을 주는 지를 볼 때, 경찰과 지역 언론의 목적이 시위자들을 저지하고 그들을잠재울 핑계를 만드는 것이라는 사실은 전혀 놀랍지 않다. 이제는 반대자들에 대한 영리한 토대를 만들기 위해 “순한 양떼”의 양과 같이 평화로운 시민들을 조성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저항을 선택하거나 정당방위를 수행하는 사람들은 때로 “테러리스트들”이라는 낙인이 찍힌다. 그리고 그들은 다양하고 불쾌한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생명 문제나 다소 치명적인 것들, 화학무기, 심지어 LRAD(Long Range Acoustic Device)의 음향대포와 같이 압제자가 관리하는 에너지 신기술도 그렇다. 인간의 삶, 완경과 보편적 인류의 미래를 파괴시킬 수 있는 신자유주의 정책뿐만 아니라, 연대 권한이 없다면 폭력과 기만을 통한 그들의 엘리트 범죄자들의 보호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As we've seen in other locations where these summits were held, South Korean police have already began their crackdown on immigrants, homeless, unions, students, and activists. Authorities there have launched large-scale deportations and raids against migrant workers and street vendors are slowly being moved out to prepare the battlefield. According to the Korean Times, “During a recent rally in front of Myeongdong Cathedral in downtown Seoul, Michel from the Philippines, the chief of the Migrants’ Trade Union, condemned the ongoing crackdown, saying, '“The Korean government is using the G-20 Summit as an excuse to trouble minorities. We want the government to end their oppressive behavior. End the crackdown!”'
우리가 G20이 열렸던 다른 지역에서 보앗듯, 남한의 경찰도 이미 이민자와 부랑아, 노조, 학생들, 운동가들에 대한 단호한 조취를 준비하고있다. 그들이 가진 권력은 해외 노동자과 가판상인들을 대규모로 국외로 추방하거나 불시 검거를 하여 서서히 시위를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로 만들고 있다. 코리안 타임즈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 있는 명동 대성당의 최근 거리 시위에서 외국인 노조장인 필리핀인 마이클 씨가 경찰의 엄격한 단속에 걸려 유죄를 선고 받았다. 마이클 씨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한국 정부는 G20 정상회담을 소수자를 괴롭히기 위한구실로 삼고 있다. 우리는 한국 정부에게 그들의 포악한 행동을 끝내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찰의 과도한 단속도 말이다!”
Amidst the growing state repression in the lead up to the G-20 in Seoul, the South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NPA) has created a special police unit as part of its effort to enhance security around the summit. Police operations headquarters will be set up in Seoul September 1st and will bring in elite mobile field force units of "riot troops" from across the nation. All officers will continue to be on high alert until November when hundreds of finance/business CEO's and world leaders gather in Seoul, in an attempt to fix the crisis their policies created. This will undoubtedly become a milestone for the G-20 and within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as South Korea becomes the first country in the Asian region, and from the "emerging world", to host a G-20 Summit.
서울의 G20 개최를 앞두고 점차 심각해지는 국가의 억압 속에서 한국 경찰청은 회담 주변부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특수 경찰이란 병과를 만들었다. 경찰작전부는 9월 1일자에 서울에 유치될 것이며 국가 전역에서 온 이러한 “우스꽝스러운 병정”들의 정예기동부대를투입할 것이다. 모든 공직자는 수백 명의 CEO들과 각국의 수장들이 서울에 보이기는 11월까지는 매우 높은 수준의 비상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경찰들이 만든 위기를 모면해가면서 말이다. 이것은 반 세계화 운동 상에서는 의심할 여지 없이 G20의 획기적인 사건이 될 것이다.왜냐하면 남한은 “독립국가”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처음으로 G20정상 회담의 주최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Based on the outcome of previous G-20 Summits and the response of South Korean police to demonstrations in the past, it is almost guaranteed that the South Korean people can expect extreme police repression and increased erosion of their hard-won democracy,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ummit. As in the past, the G-20 will almost certainly conclude in an undemocratic fashion, and will attempt to promote and solidify more of the same oppressive neoliberal policies the working people of the world struggle against every day. On the one side is neoliberalism, with all its repressive power and machinery of death; on the other side is humanity.
지난 G20회담의 결과와 남한 경찰이 과거에 시위자들에 대해 어떤 대응을 했는가를 볼 때, 남한 사람들은 과도한 경찰 진압과 그들이 어렵게 얻은 민주주의가 급격히 부패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은 확실하다. G20 회담 전에도, 그리고 회담을 하는 중에도, 그리고 이후에도 그럴 것이다. 과거처럼 이 G20은 반민주주적인 방식으로 거의 확실하게 결말 지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전세계의 투쟁하는 노동자이 매일 싸우고 있는 과도한 신자유주의적 정책들 중 많은 것이 촉진되고 응집되는 시도가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다른 편에는 신자유주의가 있다. 그들은 무자비한 권력을 지닌 살인기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반대의 편에는 인간에 대한 애정이 있다.
There will be a storm...
폭풍이 다가올 것이다.
-------------------------------
'National Doragraphycs > 이슈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주의적 좌파들의 착각: "더 이상 오바마가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by M.맥게히 2부 (0) | 2011.06.14 |
---|---|
자유주의적 좌파들의 착각: "더 이상 오바마가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by M.맥게히 (1/2) (0) | 2011.06.14 |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기후변화 –새로운 규제를 위하여 (3부) by 리우 쳉 (0) | 2011.06.14 |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기후변화 –새로운 규제를 위하여 by 리우 쳉 (0) | 2011.06.14 |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기후 변화 –새로운 규제를 위하여 by 리우 쳉 (1/3) (0) | 2011.06.14 |